기록적인 폭염이 반복되는 여름, 전기요금 부담으로 인해 에어컨 사용을 꺼리는 취약계층 가정이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서울시는 2025년 여름철 ‘냉방비 지원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이 정책은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한부모 가정 등을 대상으로 전기요금 또는 선풍기·에어컨 구매·수리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냉방비 지원 대상, 지원 금액, 신청 방법, 기간, 유의사항까지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상세히 안내해드립니다.
1. 서울시 냉방비 지원 사업이란?
- 폭염 취약계층의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에너지 복지 정책
- 서울시 및 각 자치구가 함께 추진
- 지원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전기요금 납부 지원
- ✅ 냉방기기 구입 또는 수리비 지원
- ✅ 이동식 에어컨 임대
※ 각 자치구 예산 및 대상자 수에 따라 지원 방식과 금액은 일부 상이할 수 있습니다.
---
2. 지원 대상 (2025년 기준)
✅ 기본 요건
- 서울시 거주 중인 가구 (주민등록상 주소 기준)
- 전기요금 부담 또는 냉방기기 사용에 어려움 있는 가구
✅ 우선 지원 대상 (예시)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독거노인
- 장애인 가구
- 한부모·조손가정
- 중증질환자, 거동 불편자
※ 대상 기준은 자치구마다 세부 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관할 주민센터에 문의 필수
---
3. 지원 내용
지원 항목 | 지원 내용 |
---|---|
전기요금 | 하절기 전기요금 최대 3개월 지원 (월 최대 2만~3만 원) |
냉방기기 구입 | 선풍기, 창문형 에어컨 등 실비 지원 (최대 30만 원) |
냉방기기 수리 | 기존 에어컨 수리 비용 일부 지원 (견적서 제출 필요) |
이동식 에어컨 | 거동 불편자 대상, 1~3개월 단기 임대 제공 |
---
4. 신청 방법
① 신청 기간
- 2025년 6월 ~ 9월 말까지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
② 신청 방법
- 📌 거주지 관할 동주민센터 직접 방문 신청
- 📌 또는 각 자치구청 사회복지과 문의
③ 필요 서류
- 신분증
- 주민등록등본
- 소득 증빙서류 (수급자 증명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 전기요금 고지서 사본
- 냉방기기 견적서 또는 영수증 (해당 시)
---
5. 자치구별 지원 예시
자치구 | 지원내용 | 문의처 |
---|---|---|
성북구 | 에너지 취약계층 2,000가구에 전기요금 월 3만 원 지원 | 성북구청 복지정책과 ☎ 02-2241-2340 |
영등포구 | 장애인가구 대상 이동식 에어컨 200대 무상 임대 | 영등포구청 복지지원과 ☎ 02-2670-1130 |
노원구 | 독거노인 대상 냉방기기 구입 지원 (최대 30만 원) | 노원구청 사회복지과 ☎ 02-2116-3000 |
---
6. 유의사항 및 팁
- 중복 지원 여부 확인 필수 (LH, 전력거래소, 복지부 등과 중복 시 일부 제한 가능)
- 예산 소진 전 빠르게 신청하는 것이 유리
- 선풍기나 에어컨을 이미 구매했더라도 영수증 제출 시 소급 지원 가능한 자치구도 있음
---
7. 마무리
폭염은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 건강에 위협이 되는 재난입니다.
서울시는 더 많은 시민이 안전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취약계층을 위한 냉방비 지원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니, 해당되는 분이 있거나 주변에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있다면
동주민센터 또는 자치구청에 꼭 문의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 자치구별 복지 포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