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치매는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과 사회 전체가 함께 준비해야 할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5개 전 자치구에 ‘치매안심센터’를 설치하여 치매 조기검진, 치료 연계, 가족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치매안심센터의 주요 서비스, 이용 방법, 위치 안내를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치매안심센터란?
- 보건복지부와 서울시가 함께 운영하는 공공기관
- 치매 예방·조기 진단·상담·돌봄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
- 서울시 내 25개 자치구 모두 센터 운영 중
- 모든 서비스 무료 또는 실비 수준으로 이용 가능
치매안심센터는 치매에 대한 두려움과 부담을 줄이고, 지역사회 내 치매 친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주요 서비스 안내
① 치매 조기검진
- 만 60세 이상 시민 대상 기초 인지선별검사 무료 제공 (K-MMSE 등)
- 고위험군은 신경과 전문 병원 연계 및 정밀검사 지원
② 치매 상담 및 등록 관리
- 치매 진단을 받은 경우 치매등록 대상자로 관리 시작
- 복약 관리, 정기 방문, 가족상담 서비스 제공
③ 인지 재활 프로그램
- 초기 치매환자 대상 소근육 활동, 미술·음악 치료, 기억 훈련 등
- 주 1~3회 그룹 수업 형식으로 운영
④ 치매 예방 프로그램
- 정상군 및 고위험군 대상 두뇌 훈련, 식습관 개선, 운동 프로그램
- 인지저하 예방을 위한 시민교육 정기 실시
⑤ 가족 지원 서비스
- 치매환자 가족 대상 스트레스 완화, 상담 및 간병 교육 제공
- 치매가족 힐링 프로그램, 돌봄 피로도 검사 등 포함
⑥ 치매파트너 교육
-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치매 인식 개선 및 공감 교육
- 치매친화적 지역사회 조성 참여자 양성
---
3. 이용 대상 및 비용
- 만 60세 이상 서울시민 누구나 이용 가능
- 치매 고위험군, 진단자, 가족 등도 포함
- 모든 서비스는 무료 (일부 재료비 발생 시 실비)
---
4. 이용 방법 및 예약 절차
① 전화 문의 및 예약
- 📞 치매상담콜센터(전국공통): 1899-9988
- 자치구별 센터에 직접 전화하여 상담 및 예약
② 방문 신청
- 거주지 관할 치매안심센터에 신분증 지참 후 방문
- 인지선별검사 → 필요시 정밀검사 연계 → 등록 절차
③ 온라인 정보 확인
- 👉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 (nid.or.kr)
- 자치구별 치매안심센터 위치 및 연락처 확인 가능
---
5. 서울시 자치구별 치매안심센터 위치 (일부 예시)
자치구 | 주소 | 전화번호 |
---|---|---|
강동구 | 강동구 동남로 870 (강동보건소 3층) | ☎ 02-3425-6710 |
마포구 | 마포구 매봉산로 45 (마포보건소 내) | ☎ 02-3153-9390 |
노원구 | 노원구 노해로 437 (노원보건소 2층) | ☎ 02-2116-4340 |
📌 전체 센터 목록은 👉 중앙치매센터 > 치매안심센터 찾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6.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치매 진단이 없더라도 이용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인지검사만으로도 조기 진단 및 예방 프로그램 이용 가능합니다.
Q2. 보호자가 대신 신청할 수 있나요?
네. 보호자 동행 또는 위임장 지참 시 가능합니다.
Q3. 정밀검사나 약 처방도 가능한가요?
센터 자체에서는 처방 불가하나 지정 협력 병원으로 연계됩니다.
Q4. 치매가족 프로그램은 누구나 참여 가능한가요?
등록된 치매환자의 가족 또는 주보호자라면 참여 가능합니다.
---
7. 마무리
치매는 조기에 발견하고, 꾸준한 관리와 가족의 돌봄이 병행될 때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서울시 치매안심센터는 시민 누구나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로, 정기검진부터 재활 프로그램까지 다양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합니다.
부담 없이 가까운 센터에 방문하여 상담과 검진을 받아보세요.